본문 바로가기

[기타]/상식 기타

2023년 무슨 띠? 띠별 색은 어디서 정하나?

728x90
320x100

2022년은 호랑이 띠입니다.

2023년은 토끼띠입니다.

 

그런데 검은 토끼띠라는 군요.

 

도대체 색은 누가 정하는 걸까요?

 

이런 의문을 가지게 되면 이제 정말 어려운 이론에 봉착하게 된다.

바로 명리학이라는 것인데 모든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평생을 연구해야 하는 분야이기 때문

 

시간이 없는 분들을 위해서

※ 요약

일단 최대한 간단하게 설명부터 하겠다.
  1. 띠(쥐,소,범, 토) 즉 십이간지라는 것이 있고
  2. 갑을병정 즉 천간이라는 것이 있다.
    • 쉽게 말하면 을미사변, 임진왜란에서 을미, 임진을 말하는 규칙이 있다.
    • (깊게 들어 가면 평생 연구감이다)
  3. 명리학에서 천간(갑을병정)에 색을 붙여 놓았으며 그에 따라서 올해의 색이 결정된다.
    • 띠 = 십이간지 = 십이지 = 지지
    • 천간 = 십간 
    • 천간지지 = 60갑자 = 갑자
즉, 무슨 공공기관에서 결정하는 것이 아닌
옛날에 이미 정해진 세상 규칙(명리학)에 의해서 띠와 색이 정해진다.

※ 목차
1. 올해의 색을 정하는 규칙
2. 을미, 임진을 정하는 규칙(천간지지 계산법)
3. 60갑자 계산법(알고리즘)

자, 이제 부터 그 옛날 규칙, 명리학을 조금만 맛보기로 보겠다.

 

 

띠 = 12간지 = 십이간지 = 십이지 = 지지  모두 같은 말이다.

우리가 흔히 아는 쥐, 소, 범, 토 그것을 말한다.

각 띠마다 음양, 오행, 24절기, 시간, 방위 등이 이미 정해져 있다.

 

씨앗이 초목이 되는 맹아(싹) → 생장 → 발육 → 번식 → 노쇠 → 사망 → 신생  의 일련 과정을 10단계로 만든 것이다.

  1. 갑(甲)은 씨앗의 딱딱한 껍질을 말하며 출갑우갑(出甲于甲)
  2. 을(乙)은 초목이 싹트는 것을 형상한다. 분알우을(奮軋于乙)
  3. 병(丙)은 해를 모아 생장을 준비하고 명병우병(明炳于丙)
  4. 정(丁)에 떡잎이 나고 잎들이 우거지는 것을 형상하고 대성우정(大盛于丁)
  5. 무(戊)는 무성한 초목을 말하며 풍무우무(豊楙于戊)
  6. 기(己)는 다 자라나 자신의 모습을 갖춘 것을 말한다 리기우기(理紀于己)
  7. 경(庚)은 열매를 맺어 결실을 만들 수 있게 갖춰지는 것을 이른다. 렴경우경(斂更于庚)
  8. 신(辛)은 성숙함 뒤에 모든 세상이치가 새롭게 보이는 것을 이른다. 실신우신(悉新于辛)
  9. 임(壬)은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고 기르는 것을 이른다. 회임우임(懷任于壬)
  10. 계(癸)는 생명이 마지막을 기다리는 베풀고 헤아리는 법도에 대한 것이다. 진규우계(陳揆于癸)

1. 올해의 색을 정하는 규칙

띠별 색을 정하는 규칙에 대해서 알아보자.

 

천간 = 십간 모두 같은 말이다.

흔히 갑을병정 이라고 말하는 것이 이것이다.

 

천간이 올해의 색을 정하게 되는 규칙의 근간이 된다.

 

2022년은 임인년(壬寅年)  호랑이 띠의 해이다.  

 

여기서 "임(壬)"을 찾아보면  오행이 물이고 방위는 북쪽 색상은 흑색으로 나온다.

 

임인의 "인(寅)"은 범 즉 호랑이띠를 가르킨다.

 

그래서 2022년 임인년(壬寅年) 은 검은 호랑이의 해이다.

 

그렇다면 2023년은 무슨 해 일까?

 

 

2023년은 계묘년 검은 토끼의 해이다.

 

갑자기 임에서 왜 계로 넘어 가냐? 라고 의문이 든다면 큰일 났다.

평생 연구할 그것, 명리학을 또 파고 들어야 한다.

(사실 이것까지는 알고 있어야 어른의 기본 소양을 갖췄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기는 하다.)

 

2. 천간지지(60갑자) 계산법

 

우리는 100년 단위로 1세기로 나누는 법칙에 살고 있다.

100년을 한 주기로 생각하는 개념인데

 

예전엔 60년을 한 주기로 생각 했다.

이것을 천간지지 또는 60갑자라고 하는데

 

천간 10개와 십이지(지지) 12개를 조합해서 

"갑자년"에서 부터 시작 "계해년"까지 총 60년을 주기로 하는 표기법이다.
기원후 첫 갑자년은 서기 4년이다. (중요하므로 기억해 두길 바란다)

 

 

다음 표를 보고 천간지지(60갑자) 법칙을 유추해 보기 바란다.

 

옆으로 풀어서 쓰면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천간을 천간대로 진행하고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십이지는 십이지대로 진행 한다

 

그리고 쌍을 이루어 짝을 맞추어 부르면 된다.

 

술 해 에서 짝이 맞지 않게 되는데  천간의 첫 번째 

갑 을 과 다시 짝을 맞추게 된다.

 

갑자년에서 다음 갑자년까지 주기가 60년이 걸리며 이 한 주기를 가르켜 60갑자라고 부른다.

 

역사를 돌이켜 보면

같은 천간지지를 가지는 해는 국가적으로 비슷한 일을 겪는 경우가 다수 있다.

명리학을 더 파고 들어야 알 수 있겠지만 신기한 일이다.  (더 파고 들진 말고 신기하고 이상한 일이다 정도로 넘어가자.)

3. 천간지지(60갑자) 계산법2(알고리즘)

 

갑자기 누군가 1988년은 갑자(천간지지)가 어떻게 되냐고 물어 온다면

당황하게 될 것이다.

 

그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 보자.

 

천간 계산법

기원후 첫 갑자년은 서기 4년이기 때문에

1988년 - 3년 => 1985년

1985년 ÷ 10년 => 마지막 자리 숫자 즉, 5년

5년은 천간의 5번째를 읽으면 된다.  

 

즉 戊 무

 

지지(십이지) 계산법

기원후 첫 갑자년은 서기 4년이기 때문에

1988년 - 3년 => 1985년

1985년 ÷ 12년 => 계산하면 몫이 165가 나오고 나머지가 5이 나온다.

나머지 5년 =>  지지에서 5번째를 읽으면 된다.

 

즉 辰 진

 

1988년은 갑자(천간지지)가 무진년 황금 용띠가 된다.

 

본 계산법은 컴퓨터 코딩에 적용 가능한 알고리즘이다.

728x90
728x90